자빅스(Zabbix)란?
·
서버 및 운영/운영
자빅스(Zabbix)란 ? 서버 및 네트워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오픈소스 기반의 모니터링 툴 입니다. 자빅스로 모니터링 가능한 항목 크게 아래와 같으며 상세한 모니터링이 필요한 항목이 있을 경우 자빅스 서버에서 추가 가능합니다. 애플리케이션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상태 모니터링 서버 모니터링(CPU, Memory, Disk 등 ) 네트워크 모니터링(CRC Check, Port Down 등) 클라우드 모니터링(AWS, k8s 등) 자빅스의 장단점 장점 : 무료이다. 원하는 대로 커스터마이징하여 사용가능하다. 문제 발생 시 알람 기능이 잘되어있어 메일, 문자 발송 가능하다.(앱을 통한 발송도 가능) 타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 가능하다. (Grafana , 텔레그램, 메일 등) 자빅스 사용..
도커란 무엇인가?
·
서버 및 운영/운영
도커란 무엇인가?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 즉 컨테이너들을 관리해주는 플랫폼이다.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Windows 나 Mac PC, Centos 환경에 도커를 설치하고 그 위에 여러 컨테이너를 올려 운영할 수 있으며 구조는 아래와 같다. 근데 컨테이너 ? 이게 무슨 말이지? 컨테이너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 특정버전의 런타임 등을 포함한 패키지이다. 즉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모아놓은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컨테이너는 아래 배 위에 있는 컨테이너이다. 도커는 이렇게 이해하면 편하다. 배 = 도커 컨테이너 = 컨테이너 이게 무슨말이냐면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배는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백업 및 백업방식
·
서버 및 운영/운영
백업이란 ? 자료가 손상되거나 해킹으로 인해 파일 사용이 어려운 상황을 대비하기 위해 미리 자료나 파일을 다른 매체에 저장해 놓는 것을 의미함. 서버에서 중요파일을 백업하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일 정도로 중요하며 백업 데이터를 가진 스토리지 및 서버는 물리적, 논리적인 보안 level 이 높아야합니다. (보통 해킹을 하면 백업 스토리지 및 서버 데이터부터 날리는게 일반적이므로) 각 상황별 필요에 따라 소산백업을 진행합니다. 저같은 경우 Disk , Tape 둘다 소산백업 진행하였습니다. (보안관점에서 추천) 소산 백업 : 백업된 매체를 일정거리 이상 떨어진 장소에 이격시켜서 보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백업에서 신경써야하는 부분: 백업 대상 : 어떤 대상의 데이터를 백업을 할지 ? 백업 방식 : 증분백업..
로그 관리 - Logrotate
·
서버 및 운영/서버
로그 로테이션 이란 : 로그 정보가 계속 쌓이면 파일 용량문제로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수가 있으므로 사전에 저장 기간 및 저장 방법 설정하여 원할한 서버 관리,운영을 하기 위해 설정하는 리눅스 기능. 로그 로테이션 경로 및 설정 : 로그 로테이션 config file 경로 및 설정 방법 # 기본 설정 파일 /etc/logrotate.conf # 애플리케이션 설정 파일의 디렉토리 /etc/logrotate.d/ # rotate log files weekly 로그 로테이션을 원하는 주기 설정 기본 weekly 설정됨. daily : 매일 weekly : 매주 monthly : 매월 yearly : 매년 # keep 4 weeks worth of backlogs 로그의 갯수를 지정함 로테이션 주기와 같이 적용됨..
Windows 수동 업데이트
·
서버 및 운영/운영
피치못한 사정(윈도우 서비스, WSUS 서버 이상 등등)에 의해 Windows 수동 업데이트를 해야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아래와 같이 진행한다. 1. 수동 업데이트 받을 버전을 아래 경로에서 다운로드 받습니다. https://www.catalog.update.microsoft.com/Home.aspx Microsoft Update 카탈로그 시작 Microsoft Update 카탈로그 사이트를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피드백을 남겨 주십시오! 뉴스 그룹을 방문하거나 메일을 보내어 의견 및 제안 사항을 알려주십시오. 이 사이트를 사용하기 시작 www.catalog.update.microsoft.com 2. 다운로드 받을 파일을 업데이트할 대상에 옮겨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3. 만약 정상적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