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 쉘스크립트 내용을 메일로 쏴봅시다. 일단 시작에 앞서 저는 별도 구현해 놓은 smtp 서버가 없고 단발성 메일 전송만 하기 떄문에 msmtp 를 사용합니다. 아래와 같이 설치하면됩니다.# Ubuntu/Debian 계열sudo apt updatesudo apt install -y msmtp msmtp-mta# CentOS/RHEL 계열sudo yum install -y epel-releasesudo yum install -y msmtp 설치가 완료되었으면, 여기에 설정을 해주어야합니다# 파일 생성 및 편집nano ~/.msmtprc 아래와 같이 설정을 진행합니다.비밀번호는 네이버나 gmail 을 사용할 때 사용하는 1차 비밀번호가 아니라,STMP 앱 비밀번호입니다. 하단에 네이버 기준 앱 비밀번호 설..
VMware의 DRS (Distributed Resource Scheduler)에 대해서 알아봅시다.DRS (분산 자원 스케줄러)> ESXi 호스트 여러 대를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고, CPU 메모리 부하를 자동으로 분산하는 기능VM을 실시간으로 다른 호스트에 옮기는 것은 vMotion 이 하고 옮기는 판단은 DRS 가 한다.vMotion = VMware의 실시간 VM 이동 기술.왜 필요한가 ?VM은 처음 만들때 자원 상태를 보고 배치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일부 호스트에만 부하가 몰림사람이 수동으로 옮기면 늦고 귀찮음작동 원리모니터링 : 클러스터 내 호스트 CPU, 메모리 실시간 분석평가 : 자원 불균형 감지 (ex: A호스트 CPU 90%, B호스트 CPU 30%)결정 : 어떤 VM을 어느 호스트로 옮..
리눅스 부팅과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리눅스 부팅과정을 모르면 장애 대응을 못할수가 있기 때문에 알아야합니다. 갑자기 시스템 부팅이 안되거나 특정 서비스가 부팅 시 시작이 안될경우 등등어느 단계에서 막힌건지 알수가 없기 때문이죠아무것도 모르는데 조치하려고하면 식은땀 좔좔 ;; 그리고 성능 튜닝도 해야하잖아요, 시간 = 돈 이니까요 실제 흐름은 아래와 같습니다. 뭐라는거냐구요?쉽게 설명을 하면 이 과정은 식당을 아침에 여는 과정이랑 똑같습니다. 가. 리눅스 부팅과정 간단설명1. BIOS(UEFI) (사장 아저씨가 식당 문을 열고 점검 시작)서버 전원이 켜지면 맨먼저 BIOS가 실행됩니다.하드웨어 점검을 합니다 (메모리, 키보드, 디스크) 잘 살아있나 ? 부팅 가능한 디스크를 찾아봅니다 > 전기는 들어오..
시스템 인프라 운영 및 개발자와의 소통혹은 상황에 따라 직접 개발 할 수도있는데 이러한 경우에 빌드와 배포에 대해서도 알아야한다. 문제가 발생했을때 , 빌드된 결과 때문인지? 배포중 오류가 난건지 구분해야 빨리 대응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우선 빌드 배포를 알기전에 컴파일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컴파일이란 무엇인가 ? 사람이 쓴 소스코드(.py, .java 등)를 컴퓨터가 실행할 수 있게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 아래 같은 코드를 작성한 것을 기계어(기계가 이해할 수 있게)로 번역. 쉽게 설명 : 가) 개발자 : “이런 스마트폰 만들자!” 하고 설계도(소스코드)를 그림 나) 컴파일 :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설계도(코드)를,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실행 파일로 바꾸는 과정빌드와 배포란 무엇인가 ? 1. 빌드..
내가 Git 쓰면서 명령어가 긴가 민가해서 쓰는 글임.. 나는 개발자가 메인은 아니고 운영이 메인인 터라 git 에 대해서 잘 모르기도하는데 공부도 할겸 작성해보도록 하겠음. 비전공자도 알 수 있게 작성해보겠습니다. 우선 옛날에 쓴 git 설치방법이 있네요 참고해서 설치하시면 될 것 같아요2022.02.25 - [일반] - Git 기능 및 설치방법 Git 기능 및 설치방법Git 이란 개발을 하면서 팀원간 소스코드의 최신판 관리하기가 어려워 내 PC와 동료 PC의 소스를 한군데 (중앙 서버)로 모아 관리하는 분산 관리 시스템 매일 업데이트되는 파일 공유 및 백업 & 어myit.tistory.com 간단히 git을 왜 쓰는지 부터 말을 해보자면,개발을 하면서 팀원간 소스코드의 최신판 관리가 어렵기때문에 동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