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란 무엇인가?
도커는 컨테이너 기반의 오픈소스 가상화 플랫폼이다. 즉 컨테이너들을 관리해주는 플랫폼이다.
일반 사용자가 사용하는 Windows 나 Mac PC, Centos 환경에 도커를 설치하고 그 위에 여러 컨테이너를 올려 운영할 수 있으며 구조는 아래와 같다.
근데 컨테이너 ? 이게 무슨 말이지?
컨테이너란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라이브러리 특정버전의 런타임 등을 포함한 패키지이다.
즉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모아놓은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컨테이너는 아래 <이미지2> 배 위에 있는 컨테이너이다.
도커는 이렇게 이해하면 편하다. 배 = 도커 컨테이너 = 컨테이너
이게 무슨말이냐면 우리가 흔히 알고있는 배는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고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똑같이 도커도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고 관리하는 역할을한다.
일상생활의 컨테이너에 물품이 넣고 운반되듯이 도커의 컨테이너에도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물품이 들어있다고 생각하면 된다.
컨테이너를 "왜" 써야하는가 ?
- 운영체제 수준에서 CPU, 메모리, 스토리지(용량), 네트워크 리소스를 쉽게 공유할 수 있게 해준다.
- Linux, Windows, Mac 등의 운영체제를 가리지 않고 사용 가능하다.
- 더욱 신속하게 작업을 진행하고, 효율적으로 소프트웨어를 배포하며, 확장성이 뛰어나다.
도커를 왜 써야하는가?
1. 눈송이 서버를 막을 수 있다.
설치를 마친 서버를 관리하다 보면 많은 사유로 설정이 변경되고 보안 패치를 적용하는 등 업데이트가 지속적으로 적용이 되는데,
변경된 서버의 확장이 필요할 경우 똑같은 구성으로 설정이 필요한데 아래의 사유로 설정이 어렵고 서로 다른 서버가 만들어질 것이다.
이를 눈송이 서버라고 한다.
- 담당자가 바뀌는 경우
- 관리 조직이 바뀌는 경우
- 누락된 설정이나 패치등으로 인한 오류.
2. 기존의 가상화 VM 방법과 다르게 성능적으로 뛰어나고 가볍다
기존의 가상 머신의 경우 Host OS(내 PC 운영체제) 에 Guest OS (다양하게 생성할 OS) 를 올려서 OS 설치로 용량, 메모리 소모 되는반면에 도커는 내 OS에서 바로 컨테이너 사용할 수 있으므로 불필요한 성능 소모가 없으므로 성능 상의 이점이 있다.
Host OS(내 PC windows 10) 에서 VM 머신인 Guest OS(centos)를 사용할 경우 약간 버벅이는 등 사용에 무거움이 있다.
그에 반해 Docker는 호스트 OS로 모든 것을 처리하므로 상대적으로 가볍다.
'서버 및 운영 > 운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 git 연동 방법 (0) | 2022.05.10 |
---|---|
도커 - 이미지 만들기 (0) | 2022.05.06 |
자빅스(Zabbix)란? (0) | 2022.04.26 |
백업 및 백업방식 (0) | 2022.04.01 |
Windows 수동 업데이트 (0) | 2022.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