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 관리 - Logrotate

로그 로테이션 이란 :
  •  로그 정보가 계속 쌓이면 파일 용량문제로 시스템에 문제가 생길수가 있으므로 사전에 저장 기간 및 저장 방법 설정하여 원할한 서버 관리,운영을 하기 위해 설정하는 리눅스 기능.
로그 로테이션 경로 및 설정 :

    로그 로테이션 config file 경로 및 설정 방법

# 기본 설정 파일
 /etc/logrotate.conf
# 애플리케이션 설정 파일의 디렉토리
 /etc/logrotate.d/

cat /etc/logrotate.conf

# rotate log files weekly
로그 로테이션을 원하는 주기 설정 기본 weekly 설정됨.
 	
    daily   : 매일
    weekly  : 매주
    monthly : 매월
    yearly  : 매년
	
# keep 4 weeks worth of backlogs
로그의 갯수를 지정함 로테이션 주기와 같이 적용됨.
예 : weekly, rotate 4 인 경우 일주일 단위로 로그파일 교체하고 4번 경과 시 오래된 로그 삭제됨.

    rotate 4

# create new (empty) log files after rotating old ones
로그파일 삭제후 새로운 로그파일 생성할 것인지

    create    : 생성
    nocreate  : 생성하지않음

# use date as a suffix of the rotated file
로테이션 파일에 날짜를 부여할 것인지?

    dateext   : 날짜 부여
    #dateext  : 날짜 미부여

# uncomment this if you want your log files compressed
로그 파일의 압축 여부 기본 주석처리 되어 있음
	
    compress  : 압축 진행
    nocompress: 압축 미진행

 

애플리케이션 (nginx, mysql, vsftp 등) 로그 로테이션의 경우 /etc/logrotate.d/  디렉토리 내 파일 { }  중괄호 내 에서 위와 같은 값을 넣어주어 수정 가능함.

mysql logrotate config

 

'서버 및 운영 > 서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mesg 명령어  (0) 2022.07.22
WebServer와 WAS의 차이점  (0) 2022.06.17
쿠버네티스 구성 요소 및 통신  (0) 2022.06.07
프록시란 (Forward Proxy, Reverse Proxy)?  (0) 2022.05.26
Centos Jenkins 설치  (0) 2022.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