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SQL] WITH(NOLOCK)이란 ?
·
데이터베이스
MSSQL WITH(NOLOCK)이란 ? WITH(NOLOCK) : 해석하는 그대로 MSSQL에 잠금(LOCK)을 걸지 않는다는 것이다 MSSQL의 잠금은 데이터베이스의 자원을 자신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다른 사용자의 엑세스를 제한하는 것을 의미 합니다. 잠금(LOCK)은 왜 필요한가? 데이터의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즉 동일한 데이터가 서로 다른 값을 갖지 않도록 하기 않도록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일관성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데이터베이스 자체에 심각한 오류의 요소가 되므로 잠금이 필요합니다. 즉 테이블에 UPDATE나 INSERT, DELECT 등 DML 구문을 사용하고 있을 때 테이블을 SELECT를 하면 구문이 끝날때 까지 대기를 합니다. 하지만 WITH(NOLOCK)을 사용하면 대..
MSSQL과 Oracle의 차이점
·
데이터베이스
저는 Oracle을 사용을 많이 했었는데 MSSQL의 사용이 잦아질 것 같아 Oracle과 MSSQL의 차이점은 무엇이 있을지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Oracle과 MSSQL 모두 대용량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대표적인 데이터베이스입니다. 두 데이터베이스의 차이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데이터베이스의 수 Oracle : 한 서버당 한개의 데이터베이스 생성 mssql : 한 서버당 다수의 데이터베이스 생성이 가능합니다. (멀티 데이터베이스) 2. 데이터 타입 정의 데이터 타입 정의는 숫자,문자,날짜형 총 세가지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2-1 숫자형 MSSQL: 크게 4가지( tinyint > smallint > int > bigint )로 나눠집니다. 정수 범위를 기존에 만들어진 타입을 통해 설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