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Mware DRS 란? (vMotion)

VMware의 DRS (Distributed Resource Scheduler)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DRS (분산 자원 스케줄러)

> ESXi 호스트 여러 대를 하나의 "클러스터"로 묶고, CPU 메모리 부하를 자동으로 분산하는 기능

VM을 실시간으로 다른 호스트에 옮기는 것은 vMotion 이 하고 옮기는 판단은 DRS 가 한다.

vMotion = VMware의 실시간 VM 이동 기술.


왜 필요한가 ?

  • VM은 처음 만들때 자원 상태를 보고 배치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일부 호스트에만 부하가 몰림
  • 사람이 수동으로 옮기면 늦고 귀찮음

자원 상태 부하
자원 상태 부하

작동 원리

  1. 모니터링 : 클러스터 내 호스트 CPU, 메모리 실시간 분석
  2. 평가 : 자원 불균형 감지 (ex: A호스트 CPU 90%, B호스트 CPU 30%)
  3. 결정 : 어떤 VM을 어느 호스트로 옮길지 계산
  4. 실행 : vMotion 으로 무중단 이동
  5. 정책 준수 : VM 간 배치 규칙 고려

구성 전제 조건

  • vCenter Server 
  • 2대 이상의 ESXi 호스트
  • 공유 스토리지 (SAN/NAS, VMFS/NFS 지원)
  • vMotion 네트워크 구성
  • CPU 호환성 설정

설정 방법

  1. 클러스터 생성  DRS 옵션 체크.
  2. 호스트 추가 → 같은 스토리지와 네트워크에 연결.
  3. Automation Level 선택
    • Fully Automated: 자동 배치 + 재배치
    • Partially Automated: 초기만 자동
    • Manual: 권고만 표시
  4. Migration Threshold 설정 (1~5)
    • 1 = 보수적 / 5 = 작은 부하 차이에도 이동.
    • 작은 부하로 설정 시 VM이 너무 자주 왔다갔다하면서 오히려 서비스가 지연될 수 있음
의미 동장 방식
1 (Conservative) 보수적 정말 큰 부하 차이가 생겼을 때만 VM 이동
2 약간 보수적 부하 차이가 꽤 클 때 이동
3 (Default) 중간 보통 환경에서 권장, 자원 효율 + 안정성 균형
4 적극적 비교적 작은 부하 차이에도 이동
5 (Aggressive) 매우 민감 조금만 불균형이 생겨도 VM을 자주 이동

 

Threshold
Threshold

 

   5. 테스트 → 부하를 일부러 몰아서 자동 이동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