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 M1 리눅스 Centos 서버 구축/설치

여러가지 툴이 있지만 MAC을 지원하지 않는 툴이 많아 지원이 되는 UTM 으로 진행하였습니다. 

 

UTM 은 아래 사이트에서 무료로 다운 가능하며,

UTM 을 통해 리눅스 서버를 구축할 거에요.

https://mac.getutm.app/

 

UTM

Securely run operating systems on your Mac

mac.getutm.app

 

우선 설치를 위해 iso 파일 다운로드 받아야 해요. (iso 는 설치 이미지 파일이에요)

 

리눅스, Centos의 경우에는 무료 라이선스로 아래 사이트에서 무료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https://mirror.navercorp.com/centos/7.9.2009/isos/x86_64/

 

Index of /centos/7.9.2009/isos/x86_64

 

mirror.navercorp.com

 

저는 Centos 7 최소 iso 파일을 설치하였구요,

참고로 MAC M1 운영체제이기 때문에 x86_64 를 설치했습니다.

MAC 이어도 M1이 아닌 경우 다른 것을 설치해도 좋습니다.

 

 

다운로드 한 UTM을 켜고 '새 가상머신 만들기'를 눌러줍니다.

 

두가지 기능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가상화(Virtualize) , 에뮬레이트(Emulate) 가 있고

제 MAC은  M1 Pro 로 가상화로 에뮬레이트만 사용 가능합니다.

다른 운영체제일 경우 가상화로 설치하는 것이 성능에 좋습니다.

 

에뮬레이트면 x86_64 ISO 프로그램 파일을 사용해야합니다.

가상화일경우 다른 ISO 파일을 사용해도 됩니다.

 

 

 

다운로드한 iso 파일을 첨부하고,

'Use Apple Virtualiztion' 기능 및 'Boot from kernel image'은 켜지 않아야하며,

 

설치한 iso 이미지를 첨부해줍니다.

 

 

장치의 성능 RAM 과 CPU 개수, 디스크 용량을 정해주세요

(MAC의 성능을 사용하므로 적절하게 조절해 사용하세요

 

공유폴더는 하지 않는 것으로 설정했습니다.

 

설정 시 가상머신이 생성된 것을 확인 할 수 있겠습니다.

 

실행 후 'install Centos7'  버튼 클릭 시 일정시간 소요된 후 아래와 같이 리눅스 서버가 설치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친숙한 GUI 가 나옵니다.

한국어 설정하고 진행.

 

 

여기서 중요한 설정은 아래 파티션 및 네트워크,호스트명, 보안인데

 

파티션은 초기에 세팅하는 것이 중요한데, 전 바꿀게 없어 생략하도록 하겠습니다.

필요 시 설정하고 넘어가시면 되겠습니다.

 

설치하는 동안 ROOT(관리자계정) 패스워드 설정을 해줍니다.

설치하는시간이 좀 소요되고,

기다리면 서버 설치 완료됩니다.

 

 

 

재부팅 된 후 우측 상단에 Drive image options 이라고 있는데,

여기서 설치한 iso 파일을 꺼내기 해주어야합니다.

 

꺼내기 해주지 않으면 무한 설치모드로 됩니다.

 

 

고생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