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동작방식은?

웹(world wide web)이란 ?

인터넷으로 연결된 사용자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며, 현재 들어와 계신 블로그 역시 웹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웹사이트 입니다.

이를 줄여서 웹으로 부릅니다.

웹 동작방식은 ?

우리가 평소에 음식을 먹기위해 음식점으로 들어가면 어떤 것을 먹을지 정하고, 주문(계산)을 하면 주방에서 주문한 음식을 레시피에 따라 음식을 만들고 우리는 그 음식을 제공받습니다.

 

이와 같은 과정이 웹에서도 일어납니다.

 

  1. 클라이언트 즉 사용자가 브라우저(크롬, 엣지, 사파리)를 통해 접속하고자 하는 URL(naver.com)을 입력합니다.
  2. 입력받은 URL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도메인을 DNS 서버에서 검색합니다.
  3. 검색한 도메인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IP주소(192.168.0.1 등)로 변환 받습니다.
  4. DNS 서버로 부터 받은 정보(IP주소), URL 주소 등의 URL정보를 웹서버로 HTTP 프로토콜을 통해 전송합니다.
  5. 전송받은 URL 정보를 웹서버에서 확인하고 해당 정보에 맞는 데이터를 HTTP 프로토콜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회신을 합니다.
  6. 회신받은 URL 데이터가 브라우저에 출력되어 시각적으로 볼 수 있도로 표시됩니다.  

웹은 크게 위와 같은 절차대로 동작하며, 만약 정상적인 웹사이트의 접속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 할 경우 중간 노드에서 문제가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큽니다.

 

클라이언트를 손님, 인터넷을 음식을 주문받고 가져다주는 서빙(키오스크), DNS를 계산하는 과정, 웹 서버를 조리 및 제공하는 주방으로 생각하면 이해가 쉽겠습니다.

DNS 란?

일반사용자가 브라우저에 URL(naver.com) 입력 시 컴퓨터는 인식하지 못합니다.

정상적인 통신을 위해서 URL의 도메인 네임(naver.com)을 컴퓨터가 인식 할 수 있도록 IP주소로 변환 시켜주는 것을 의미합니다.

'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L4 스위치란?  (0) 2022.06.09
GET - POST 방식의 특징  (0) 2022.05.23
VLAN 트렁크란 ?  (0) 2022.05.16
VLAN이란 ?  (0) 2022.05.16
OSI 7계층이란?  (0) 2022.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