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개발자들 사이에서 조용히,
그러나 강력하게 주목받는 백엔드 플랫폼이 있습니다. 바로 Supabase입니다.
"Firebase의 오픈소스 대안"이라는 말,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우선 Firebase 가 무엇인가 설명을 하자면
앱이나 웹 서비스를 만들 때, 백엔드(서버)를 직접 구축하는 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들어갑니다.
로그인 기능, 데이터 저장소, 실시간 알림, 파일 업로드 같은 기능들을 일일이 다 만들어야 하죠.
그래서 나온 게 바로 Firebase(파이어베이스)입니다.
Google에서 만든 이 서비스는 백엔드에 필요한 거의 모든 기능을 ‘클릭 몇 번’으로 해결해주는 플랫폼이에요.
- 회원가입 / 로그인
- 실시간 채팅
- 게시글 저장
- 이미지 업로드
이 모든 기능을 Firebase 하나로 빠르게 구축할 수 있죠.
덕분에 스타트업, 사이드 프로젝트, MVP 개발자들 사이에 인기가 매우 높습니다.
그러면 Firebase의 단점은?
하지만 Firebase에도 단점은 분명 존재합니다. 대표적으로:
- NoSQL 기반으로 유연성이 떨어짐
- 정교한 데이터 관계나 조건 검색은 어렵습니다.
- 복잡한 쿼리 작업은 비효율적이죠.
- 요금 구조가 불명확
- 사용량 기반 과금이라 처음엔 저렴하지만,
트래픽이 늘면 요금이 갑자기 치솟을 수 있습니다. (가장 큰 단점이죠)
- 사용량 기반 과금이라 처음엔 저렴하지만,
- 오픈소스가 아니라 커스터마이징이 어려움
- 내가 직접 기능을 바꾸거나 분석할 수 없습니다.
- ‘구글이 정한 틀 안에서만’ 써야 합니다.
그래서 등장한 Supabase
Supabase는 Firebase의 구조를 거의 그대로 따라가면서도,
- PostgreSQL 기반의 SQL 데이터베이스,
- 완전한 오픈소스,
- 명확한 무료 요금제를 제공하는,
새로운 대안 플랫폼입니다.
이제부터 Supabase가 무엇을 제공하고,
왜 주목받고 있는지,
어떤 점이 강점이고 한계인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Supabase 핵심 기능 요약
Supabase는 단순한 툴이 아니라, 여러 백엔드 기능을 한 번에 제공하는 통합 솔루션입니다. 핵심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 데이터베이스: PostgreSQL 기반
- 인증 시스템: OAuth, 이메일, Magic Link 등 지원
- 스토리지: 이미지/파일 업로드 및 관리
- 실시간 기능: 데이터 변경 실시간 반영
- 서버리스 함수(Edge Functions): 클라우드 함수 실행 가능
- 자동 API 생성: 테이블 만들면 REST API도 자동 생성됨
이 모든 기능이 GitHub 계정 하나만 있으면 바로 무료로 시작 가능하다는 점에서 매력적입니다.
💡 PostgreSQL이 뭐길래?
Supabase를 이해하려면 PostgreSQL을 간단히 알아야 합니다.
PostgreSQL(포스트그레스큐엘)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오픈소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중 하나입니다.
📌 그럼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란?
쉽게 말하면, 엑셀처럼 표 형태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열(column)과 행(row)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정리하며, SQL(쿼리)이라는 언어를 통해 데이터를 넣고, 수정하고, 꺼내는 시스템입니다.
✅ 예시:
SELECT * FROM users WHERE email = 'abc@example.com';
→ "users 테이블에서 이메일이 abc인 사람의 정보를 꺼내줘!"
PostgreSQL은 이 구조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다음과 같은 강력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정확한 트랜잭션 처리: 돈이 오가는 서비스에서 필수!
- 복잡한 검색 지원: 키워드, 조건, 정렬 등 고급 검색 가능
- 확장성: 대용량 데이터 처리 가능
- 오픈소스: 비용 없이 자유롭게 사용 가능
Supabase는 이 PostgreSQL을 백엔드 중심에 두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 처리 신뢰도와 확장성 면에서 Firebase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도 많습니다.
⚙️ Supabase의 장점
1. 오픈소스 기반 – 자유로운 커스터마이징
코드가 공개되어 있어, 원하는 기능을 직접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습니다.
2. PostgreSQL + SQL 지원 – 개발자 친화적
SQL만 알면 거의 모든 데이터를 컨트롤할 수 있어요.
Firebase처럼 제한된 쿼리 문법이 아니라, 자유롭고 강력한 SQL 사용이 가능합니다.
3. 실시간 기능 내장
별도의 설정 없이도 실시간 데이터 반영 가능. 예: 게시판 댓글 실시간 업데이트 등.
4. API 자동 생성
테이블만 만들면, 자동으로 RESTful API가 생성되기 때문에 백엔드 따로 만들 필요가 없습니다.
5. 무료 플랜도 충분히 쓸만함
- 500MB DB 용량
- 월 50,000 요청
- 스토리지 1GB
초기 프로젝트, 포트폴리오, 사이드 프로젝트용으론 충분합니다.
6. 손쉬운 계정 연동 (GITHUB 계정과 연동)
❌ Supabase의 단점
물론 단점도 있습니다. 아래는 실제 사용 경험자들이 가장 많이 말하는 단점들입니다.
1. PostgreSQL 러닝커브
SQL에 익숙하지 않다면, 처음에는 꽤 헤맬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번 익히면 오히려 자유로워집니다.
2. Firebase보다 자료 적음
커뮤니티나 공식 문서는 있지만, Firebase만큼 풍부하지는 않습니다.
특히 한글 자료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입니다.
3. 성능 문제 (초기화 시 딜레이 등)
가끔 대시보드나 서버가 느릴 때가 있으며, 고트래픽 환경에서는 Firebase보다 안정성이 떨어진다는 평가도 일부 있습니다.
📊 무료 플랜, 얼마나 쓸 수 있을까?
Supabase 무료 요금제는 초보자나 사이드 프로젝트에는 아주 훌륭한 선택입니다.
항목 | 무료 플랜 기준 |
DB 용량 | 500MB |
API 요청 | 월 50,000회 |
파일 스토리지 | 1GB |
Edge Functions | 월 50,000 호출 |
인증 사용자 수 | 무제한 |
실제로 작은 앱이나 MVP(최소 기능 제품)는 이 범위 안에서 충분히 운영 가능합니다.
다만, 데이터 양이 많아지거나 요청량이 늘어나면 유료 전환이 필요하니, 그 시점을 미리 계산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저도 실제로 쓰고있는데 굉장히 만족스럽네요
✅ 결론 – Supabase는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Firebase의 요금 구조가 부담스러운 1인 개발자
- SQL에 익숙하거나 SQL을 배우고 싶은 웹 개발자
- 빠르게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싶은 스타트업
- GitHub와 연결되는 오픈소스 백엔드에 관심 있는 분
📌 추천 실천 팁
: “내가 만들고 싶은 작은 서비스가 있다면, Supabase로 MVP부터 만들어보세요.”
→ 초기 비용은 거의 없고, 사용하면서 PostgreSQL에 대한 감각도 함께 익힐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 보안' 카테고리의 다른 글
MSSQL 쿼리 주의사항 주요 실수 (0) | 2024.01.17 |
---|---|
[MSSQL] 여러개 쿼리 하나로 묶기_UNION ALL (0) | 2023.11.28 |
[MSSQL] UNION , UNION ALL 이란 (0) | 2023.11.20 |
[SQLD] SQLD 책 추천, 노랑이 (0) | 2023.08.22 |
[SQLD] SQLD 후기 및 공부방법 (0) | 2023.06.25 |